맨위로가기

분해 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해효소는 특정 기질의 화학 결합을 절단하는 효소의 한 종류이다. 분해효소는 효소의 EC 번호 분류에서 EC 4로 분류되며, 절단하는 결합에 따라 탄소-탄소 결합 분해효소(EC 4.1), 탄소-산소 결합 분해효소(EC 4.2), 탄소-질소 결합 분해효소(EC 4.3), 탄소-황 결합 분해효소(EC 4.4), 탄소-할로젠 결합 분해효소(EC 4.5), 인-산소 결합 분해효소(EC 4.6), 기타 분해효소(EC 4.99) 등 7가지 하위 부류로 나뉜다. 분해효소는 명명법에 따라 "기질 그룹+분해효소"로 명명되며, 제거 반응과 마이클 첨가 반응의 조합을 촉매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분해효소는 생체막에 결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해 효소 - 탈수효소
    탈수효소는 분자에서 물 분자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결핍 시 고페닐알라닌혈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며, 헴 합성, 세린 분해, 페닐알라닌 합성 등에 관여하는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 세린 탈수효소, 아로게네이트 탈수효소 등이 있다.
  • 분해 효소 - 생성효소
    생성효소는 ATP, 시트르산, 트립토판, 슈도유리딘, 지방산, 셀룰로스와 같은 특정 물질을 합성하는 효소의 총칭이며, 셀룰로스 생성효소는 UDP 또는 GDP를 이용하여 셀룰로스를 합성한다.
  • 효소 - 활성 부위
    활성 부위는 효소 분자 내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는 특정 부위이며, 다양한 모델로 설명되고, 결합 부위, 촉매 부위, 보조인자를 포함하며, 저해제와 알로스테릭 부위와 관련되어 신약 개발에 활용된다.
  • 효소 - 제한 효소
    제한 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로, 유전체학과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인식 서열 특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연구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분해 효소
효소 정보
유형생체 촉매
기능제거 반응을 촉진함
이중 결합을 형성하거나 고리 구조에 첨가함
상세 정보
반응 종류C-C 결합 분해
C-O 결합 분해
C-N 결합 분해
C-S 결합 분해
분류
EC 번호EC 4

2. 명명법

분해효소의 계통명은 "기질+그룹+분해효소"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탄산 탈수소효소가 있다. 일반명으로는 탈카복실화효소, 탈수효소, 알돌레이스 등이 있다.[7] 생성물이 더 중요한 경우 생성효소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포스포설포락트산 생성효소(EC 4.4.1.19)는 포스포엔올피루브산에 대한 아황산염의 마이클 첨가 반응을 촉매한다.[7]

제거 반응과 마이클 첨가 반응의 조합이 촉매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O''-석시닐호모세린(싸이올)-분해효소(MetY 또는 MetZ)는 ''O''-석시닐호모세린(석신산이탈기로 사용)의 γ-제거 반응을 먼저 촉매하고, 이어서 황화물이 바이닐 중간생성물로 전환된다. 이 반응은 처음에는 분해효소(EC 4.2.99.9)로 분류되었지만, 이후에 전이효소(EC 2.5.1.48)로 재분류되었다.[7]

3. 분류

분해효소는 EC 번호 분류에서 EC 4로 분류되며, 절단하는 결합에 따라 7가지 하위 부류로 나뉜다.


  • EC 4.1: 탄소-탄소 결합을 절단하며, 탈카복실화효소, 알데하이드 분해효소 등이 있다.
  • EC 4.2: 탄소-산소 결합을 절단하며, 탈수효소 등이 있다.
  • EC 4.3: 탄소-질소 결합을 절단한다.
  • EC 4.4: 탄소-황 결합을 절단한다.
  • EC 4.5: 탄소-할로젠화물 결합을 절단한다.
  • EC 4.6: 인-산소 결합을 절단하며,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구아닐산 고리화효소 등이 있다.
  • EC 4.99: 기타 분해효소로, 페로킬레이테이스 등이 있다.

3. 1. 탄소-탄소 결합 분해효소 (EC 4.1)

EC 4.1은 탄소-탄소 결합을 절단하는 효소이다. EC 4.1에는 다음과 같은 효소들이 포함된다.

  • 탈카복실화효소 (EC 4.1.1): 카복실기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예: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
  • 알데하이드 분해효소 (EC 4.1.2): 알데하이드기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예: 프럭토스-비스인산 알돌레이스
  • 옥소산 분해효소 (EC 4.1.3): 옥소산을 분해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예: 아이소시트르산 분해효소
  • 기타 탄소-탄소 결합 분해효소 (EC 4.1.99): 예: 트립토판 분해 효소

3. 2. 탄소-산소 결합 분해효소 (EC 4.2)

EC 4.2는 탄소-산소 결합을 절단하는 분해효소들이다. EC 4.2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탈수효소는 물 분자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예로는 탄산 탈수 효소, 푸마르산 수화 효소 등이 있다.
  • 다당류 분해효소는 다당류의 탄소-산소 결합을 절단한다. 예로는 히알루론산 분해효소가 있다.
  • 기타 탄소-산소 결합 분해효소 (EC 4.2.99)에는 DNA 분해효소 등이 있다.[1]

3. 3. 탄소-질소 결합 분해효소 (EC 4.3)

EC 4.3은 탄소-질소 결합을 절단하는 분해효소들을 포함한다. 세부 하위 부류는 다음과 같다.

  • EC 4.3.1은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암모니아 분해효소이다.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암모니아 분해효소 (EC 4.3.1.1), 히스티딘 암모니아 분해효소 (EC 4.3.1.3) 등이 있다.
  • EC 4.3.2는 아미딘 그룹을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아미딘 분해효소이다. 예를 들어 아르기니노숙신산 분해효소 (EC 4.3.2.1)가 있다.
  • EC 4.3.3은 아민 그룹을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아민 분해효소이다. 예를 들어 스트릭토시딘 합성효소 (EC 4.3.3.2)가 있다.
  • EC 4.3.99는 기타 탄소-질소 결합 분해효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복시비오틴 탈카복실화 효소 (EC 4.3.99.2)가 있다.

3. 4. 탄소-황 결합 분해효소 (EC 4.4)

EC 4.4는 탄소-황 결합을 절단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분해효소이다. EC 4.4에 해당하는 효소들은 다음과 같다.

EC 번호효소명
EC 4.4.1.1시스타티오닌 γ 분해효소
EC 4.4.1.2호모시스테인 탈황 효소
EC 4.4.1.3디메틸프로피오테틴 데티오메틸라제
EC 4.4.1.4알리인 분해효소
EC 4.4.1.5락토일글루타티온 분해효소
EC 4.4.1.6S-알킬시스테인 분해효소
EC 4.4.1.8시스타티오닌 β 분해효소
EC 4.4.1.9L-3-시아노알라닌 생성효소
EC 4.4.1.10시스테인 분해효소
EC 4.4.1.11메티오닌 γ 분해효소
EC 4.4.1.13시스테인-S-공액 β 분해효소
EC 4.4.1.141-아미노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생성효소
EC 4.4.1.15D-시스테인 탈황효소
EC 4.4.1.16셀레노시스테인 분해효소
EC 4.4.1.17홀로시토크롬 C 생성효소
EC 4.4.1.19포스포술포유산 생성효소
EC 4.4.1.20류코트리엔-C4 생성효소
EC 4.4.1.21S-리보실호모시스테인 분해효소
EC 4.4.1.22S-(히드록시메틸)글루타티온 생성효소
EC 4.4.1.232-히드록시프로필-CoM 분해효소
EC 4.4.1.24(2R)술포유산 술포분해효소
EC 4.4.1.25L-시스테인산 술포분해효소
EC 4.4.1.26올리베톨산 고리화효소


3. 5. 탄소-할로젠 결합 분해효소 (EC 4.5)

EC 4.5는 탄소-할로젠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들이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EC 4.5.1.1 DDT 탈염소화효소[1]
  • EC 4.5.1.2 3-클로로-D-알라닌 탈염소화효소[2]
  • EC 4.5.1.3 디클로로메탄 할로겐화물 제거효소[3]
  • EC 4.5.1.4 L-2-아미노-4-클로로펜타-4-엔산 탈염소화효소[4]
  • EC 4.5.1.5 S-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 합성효소

3. 6. 인-산소 결합 분해효소 (EC 4.6)

EC 4.6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및 구아닐산 고리화효소와 같이 인-산소 결합을 절단하는 분해효소들이다.[1]

3. 7. 기타 분해효소 (EC 4.99)

EC 4.99는 다음과 같은 다른 분해효소들을 포함한다.

  • EC 4.99.1.1 페로킬레이테이스[1]
  • EC 4.99.1.2 알킬 수은 분해효소[1]
  • EC 4.99.1.3 시로히드로클로린 코발트킬레이테이스[1]
  • EC 4.99.1.4 시로히드로클로린 페로킬레이테이스[1]
  • EC 4.99.1.5 지방 사슬 알독심 탈수효소[1]
  • EC 4.99.1.6 인돌 아세트알독심 탈수효소[1]
  • EC 4.99.1.7 페닐 아세트알독심 탈수효소[1]
  • EC 4.99.1.8 헴 분해효소[1]

4. 막 결합 분해효소

일부 분해효소는 외재성 막 단백질생체막에 결합되거나 단일 막횡단 나선을 통해 고정된다.[9][2]

참조

[1] 웹사이트 Lyase https://www.uniprot.[...]
[2] 웹사이트 Superfamilies of single-pass transmembrane lyases http://membranome.or[...]
[3] 웹사이트 新設された酵素分類 EC7 の和名提案について https://www.jbsoc.or[...] 2024-04-13
[4] 서적 リアーゼ 岩波書店
[6] 간행물 除去付加酵素 平凡社
[7] 서적 シンターゼ 岩波書店
[8] 웹인용 Lyase https://www.uniprot.[...]
[9] 웹사이트 Superfamilies of single-pass transmembrane lyases http://membranom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